연구노트/동물 실험

[조직학] 조직학의 기본.

낭희제 2024. 6. 7. 02:35
728x90

[서설]

 in vivo technician 으로 2년 넘게 지내다보니 조직학으로도 공부가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그리하여 머릿 속에 넣기 위해 정리를 시작한다.

 

 

<조직 검사학의 정의>

 - 정상 · 병적 조직의 형태 관찰을 위해 현미경적 표본 제작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

 - 조직표본을 준비하여 현미경으로 세포와 조직의 구조를 세밀히 관찰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

 

 1) 분자생물학적 방법 : 분자병리학

 2) 전자현미경적 방법 : 소기관병리학

 3) 세포학적 방법 : 세포병리학

 4) 조직학적 방법 : 조직병리학

 5) 육안적 방법 : 장기병리학

 

<조직학적 검사의 중요성>

 - 생검, 부검, 수술시료 등의 검체로 병소를 육안적, 현미경적 관찰, 환자 질병 진단

 - 최종진단, 사인 규명의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검사

 

<조직학의 확립 과정>

 1) 고정액 (fixative) 발달

 2) 염색법 (staining) 발달

 3) 도은법 (silver impregnation) 발달

 4) 박절기 (microtome) 의 발달로 조직의 절편 (section) 을 연속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됨

 

<조직학의 이용>

 1) 치료를 위한 진단 (diagnosis for treatment) 

 2) 과학수사 (forensic investigation)

 3) 부검 (autopsy)

 4) 고고학 (archaeology)

 

※ 조직학 연구 전, 관찰 도구인 현미경의 사용법② 적절한 표본을 만드는 표본제작방법 등을 사전에 익혀두어야 함이 필수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