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화장품약리' 태그의 글 목록

화장품약리 4

[화장품_제형 연구] 분산(Dispersion) 시, 점증제 중화를 나중에(마지막에) 하는 이유

* Master hee 뚝딱뚝딱 화장품 채널 * 분산 (Dispersion) → 물 또는 오일 성분에 미세한 고체입자가 계면활성제에 의해 균일하게 분포된 상태 Q. 오늘의 고민 분산에 의해서 카보머는 점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음. 중화를 늦게 할수록 좋은데 그 이유가 무엇일까? A. - 점도는 기계 에너지 (Mixer RPM)의 영향을 받아 기계 에너지를 많이 받으면 점도가 하락하게 되고, 적게 받을수록 점도 형성이 덜 하락하게 됨. - 따라서 분산 시, 중화를 빨리(먼저) 하게 되면, 점도를 형성할 때와 오일과 섞어줄 때 총 2번 기계 에너지를 받게 되므로 이로 인해 점도가 목표치보다 깨질 수가 있음. - 결과적으로 분산 시, 중화를 가장 나중에 하는 것이 대부분임.

[화장품_제형 연구] 킬레이트제(Chelating agent)_Disodium EDTA 2NA, Disodium EDTA 4NA, Sodium phytate 함량별 확인 실험

* Master hee 뚝딱뚝딱 화장품 채널 * 2021.03.30 ~ 2021.04.16 ▶ 서론 화장품 제조 시 '그냥 미량 들어가는 원료'라고 알았던 Disodium EDTA 2NA. 왜 들어가는지 궁금했지만 단순하게 서치했을 때 '킬레이트제, 금속이온봉쇄제'이며 금속이온을 봉쇄하여 방부를 막는거라고 이해하고 넘겼지만 취업 후 이 원료에 대하여 깊은 고민을 하게 되었음. ● 고민 초반에 이해했던 EDTA 첨가 이유 1) 화장품에서 미량의 금속이온 성분은 유성 원료의 산화를 촉진하는 촉매로 작용하여 변취, 변색의 원인이 되고, 다른 성분의 작용을 저해하며 특히 화장수 등에서는 침전이 생겨 불투명한 상품으로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금속이온봉쇄제를 첨가함. 2) EDTA 자체 방부 능력은 없으나 Pseu..

[화장품_효능 연구]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assay

* Master hee 뚝딱뚝딱 화장품 채널 * [서설] 산화는 보통 ① 산소 원자가 붙는다, ② 수소 원자가 떨어진다, ③ 전자가 떨어진다, 라고 설명할 수 있지만, radical 소거능 실험의 '항산화'의 개념은 보통 radical을 불활성화 시켜서 산화 작용을 방지하는 개념이다. ABTS assay는 DPPH (EDA) 실험 방법과 함께 항산화 활성 측정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Lipophilic(친유성), Hydrophilic(친수성) 물질 모두 측정이 가능하다. ABTS는 DPPH와는 달리 수성과 유기용매에 용해가 된다. [실험 목적] 1. 물질의 항산화력을 측정하기 위함. 2. Free radical을 소거해주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 3. ABTS와 항산화 물질을 혼합했을 때 무색..

[화장품_효능 연구] 배양 배지 조제 (Cell culture Media)

* Master hee 뚝딱뚝딱 화장품 채널 * 세포 실험을 하기 위해서는 배양하는 배지를 조제해야 한다. 조제하는 법은 어렵지 않다. [준비물] 1. Fetal Bovine Serum 50mL (전체 배지 양의 10%) 2. Penicillin-Streptomycin 100X 5mL (전체 배지 양의 1%) 3.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 (500mL) → 가장 일반적으로 동물 세포 배양에 사용되는 Media [순서] 1. DMEM 배지, FBS, Penicillin을 37℃ waterbath에 담가 둔다. (~30 min) 2. DMEM 배지에 FBS 50mL을 넣는다. (본 연구실에서는 미리 소분을 해 둔다.) 3. Penicillin 5mL을 넣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