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ster hee 뚝딱뚝딱 화장품 채널 *
[배지 조성]
- 아미노산, 비타민, 무기염분, 포도당, 지질, 지시약 + 혈청
1. 아미노산
- L-(arginine, cysteine, glutamine, histidine, isoleucine, methionine, threonine, tryptophan, tyrosine, valine, leucine)과 glycine이 들어있음.
- 이러한 아미노산들은 세포의 단백질 합성 원료로 이용되며 성장과 생장을 도움.
- 아미노산들은 L형과 D형으로 나뉘는데, 그 중 동물세포에서 단백질 합성으로 이용할 수 있는 단백질은 'L형'으로, glycine을 제외하고는 모든 아미노산은 L형을 넣어주게 됨.
- 조성에 들어가는 아미노산은 크게 필수 아미노산 9종류와 준 필수 아미노산 5종이 들어가게 됨.
2. 비타민
- 배지 내에는 여러 종류의 비타민이 들어가게 됨.
- 비타민들은 배지 내에서 세포들의 활성을 유지하는 것을 도움.
- 혈청을 첨가하는 배지의 경우, 혈청 내에 비타민이 첨가되어 있기도 함.
- 비타민들은 세포 내에서 효소의 작용에 관여하는 조효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함.
- 배지에 첨가되는 비타민으로는 대부분 B 그룹에 속하는 비타민들임.
(choline chloride, Folic acid, myo-inositol, Nicotinamide, D-ca pantothenate, Pyridoxal, Thiamin)
3. 무기염
- 무기염들은 '이온'이라고도 하며 Na+, K+, Mg2+, Ca2+, Cl-, SO42-, PO43-, HCO3- 가 첨가하게 됨.
- 무기염들은 세포 부착과 집합, 세포 기능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첨가하여야 함.
4. 포도당 (에너지원으로)
- 대부분 동물세포에서는 에너지원으로 포도당을 이용하기 때문에 배지에도 D형 포도당과 L형 글루타민을 첨가함.
- D형 포도당은 에너지 생산에 이용되며, 일부 불완전한 TCA 회로를 가지고 있는 세포의 경우, L형 글루타민을 이용하므로 두 가지 탄수화물을 모두 첨가하게 됨.
- D형 포도당이 없는 경우, D형 galactose나 fructose, mannose 같은 다른 탄수화물로 대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젖산 축적이 방지되어 배지의 산성화를 막을 수 있음.
5. 지시약
- 일반적으로 phenol red (phenolfulfonphthalein) 를 지시약으로 사용함.
- phenol red는 산성에서는 황색, 중성에서는 적색, 염기성에서는 자색을 나타내는 지시약으로, 이를 통해 쉽게 배지의 pH를 알 수 있음.
-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유사한 반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포유동물 조직을 배양하는 경우에는 phenol red가 제거된 배지를 사용함.
- 세포는 증식을 하면서 많은 노폐물을 방출하는데 이물질들이 배지를 산성으로 만들기 때문에 배지의 색을 보고 생육조건을 추측할 수 있음.
6. FBS (Fetal Bovine Serum, 우태아혈청, 소태아혈청)
- FBS로 약기
- 세포 및 조직 배양에서 많이 사용되는 혈청
- 태아혈청은 포유류나 조류 외에 곤충의 세포 배양 시 합성 배지에 첨가하며 사용함.
- 특히 면역학에 관여하는 조직배양을 위한 배지 성분으로 많이 쓰이고 있음.
- 비교적 다량으로 입수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됨.
- 세포 배양에 작용하는 단백질인 알부민, 글로불린, 세포 부착을 촉진하는 단백질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 많이 들어있음.
- polypeptide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혈청 내 주요 성장인자로 사용됨.
- 각종 영양소와 대사 물질, 억제 인자들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세포 배양을 위한 배지에 10% 정도의 농도로 첨가함.
- 혈청을 이용하기 전에 Inactivation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는 세포 배양에 방해가 되는 단백질, 항체, complement의 활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열을 가하는 과정임. Inactivation은 56℃에서 30분 동안 가열함.
7. Penicillin/Streptomycin
- 일종의 방부제 역할
- 세포를 죽지 않게 하는 역할
출처 : 구글, 네이버, 네이버 블로그, 백과사전
'연구노트 > 세포 실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물 실험_세포] A549 cell properties : Human epithelial cell (A549 세포 특성 정리) (2) | 2023.08.29 |
---|---|
[화장품 효능 연구] Cell subculture (세포 배양법) _ Adherent cell (0) | 2023.04.21 |
[화장품 효능 연구] Cell subculture (세포 배양법) _ Suspension cell (4) | 2023.04.20 |
[화장품_효능 연구] 세포 해동 (Cell Thawing) (1) | 2020.10.05 |
[화장품_효능 연구] 배양 배지 조제 (Cell culture Media) (1) | 2020.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