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항산화' 태그의 글 목록 (3 Page)

항산화 11

[화장품_효능 연구]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assay 실험 순서

* Master hee 뚝딱뚝딱 화장품 채널 * [실험 순서] 1. sample(타겟 시료)과 positive control를 농도별로 조제한다. 2. 96 well plate를 준비한다. 3. control 칸과 control blank 칸에 sample 용매와 positive control 용매를 100㎕ 씩 처치한다. 4. sample 칸 sample blank 칸에 농도별로 조제한 sample과 positive control을 100㎕ 씩 처치한다. 5. ABTS 용액의 용매 D.I.W를 control blank 칸과 sample blank 칸에 100 ㎕ 씩 처치한다. 6. 조제한 ABTS 용액을 control 칸과 sample 칸에 100 ㎕ 씩 처치한다. 7. 실온에서 차광하여 1분 반응 후..

[화장품_효능 연구]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assay

* Master hee 뚝딱뚝딱 화장품 채널 * [서설] 산화는 보통 ① 산소 원자가 붙는다, ② 수소 원자가 떨어진다, ③ 전자가 떨어진다, 라고 설명할 수 있지만, radical 소거능 실험의 '항산화'의 개념은 보통 radical을 불활성화 시켜서 산화 작용을 방지하는 개념이다. ABTS assay는 DPPH (EDA) 실험 방법과 함께 항산화 활성 측정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Lipophilic(친유성), Hydrophilic(친수성) 물질 모두 측정이 가능하다. ABTS는 DPPH와는 달리 수성과 유기용매에 용해가 된다. [실험 목적] 1. 물질의 항산화력을 측정하기 위함. 2. Free radical을 소거해주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 3. ABTS와 항산화 물질을 혼합했을 때 무색..

[화장품_효능 연구] Electron donating ability assay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assay)

* Master hee 뚝딱뚝딱 화장품 채널 * [서설] 화장품약리학과에 입학한 후 학부생 연구원으로 시작했을 당시 가장 처음 배웠던 실험이 EDA (DPPH) 실험이다. 이 실험에 대해 정리를 할 때면 항상 그 시절 처음 배웠던 기억이 나서 제대로 정리하고 싶은 생각이 든다. 당연한 소리겠지만 실험을 시작하기 전에 이 실험을 왜 하는지, 이 실험은 어떤 원리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파악하고 나니 이해가 더 잘 되어 실험도 잘 되는 느낌이었다. 그럼 시작! [실험 목적] 1. 물질의 항산화력을 측정하기 위함. 2. 천연물의 DPPH에 달린 Free radical의 환원력을 알아보기 위함. [DPPH 시약의 구조] - DPPH는 화학적으로 안정화된 Free radical을 가지고 있는 수용성 물질 - 515-..